조 버튼

마인드풀니스란 무엇인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집중하는 것, 인식과 주의력 훈련입니다.
집중력과 정신적, 감성적 편안함을 높이는 것이기도 합니다.
모든 측면에서 , 성과를 강화 할 수 있는 뇌 훈련입니다.
명상과 마인드풀니스는 다릅니다.
명상은 주의력을 훈련하는 연습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마인드풀니스는 주의력을 훈련하는 목적이자 생활 방식이다.
마인드풀니스의 10가지 효과
집중력 향상, 만성 스트레스 완화, 통증 완화, , 혈압을 낮추고, 행복과 에너지를 높입니다.
면역력을 높이고, 심혈관 건강 증진, 수면 개선, 실수 감소의 효과를 가져 옵니다.
현대인들은 왜 마인드풀니스를 못하는가 ?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쁘기 때문에 마인드풀니스를 하지 못한다.
바쁜 현대인들의 삶
잘못된 것들을 연습하고 있다?
우리 모두, 걱정과 후회, 불안, 음모론을 연습합니다.
인간의 주의력은 8초에서 12초로 금붕어보다 못합니다.
이런 현상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은, 생산성 때문입니다.
스트레스를 받는 직장인들은 짧은 시간 안에, 더 많은 일을 해야겠다는 생각에
직장인들이 멀티태스킹을 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작업 결과에 만족하지만, 실제로는 성과가 낮습니다.
멀티태스킹은 나쁜 것 입니다.
우리 뇌는 한번에 한가지 일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뇌가 작동하는 방법으로는, 멀티태스킹은 불가능 합니다.
우리는 멀티태스킹을 한 것이 아니라, 그 많큼 작업을 전환 한 것입니다.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경우, 생산성은 40%까지 떨어집니다.
멀티태스킹을 대충태스킹, 영어로는 multislacking 이라고 부릅니다.
직장인들에게 어떤 스트레스가 있는가 ?
스트레스를 2가지 입장에서 살펴봅시다.
83% 직장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합니다.
50% 스트레스 수준이 압도적이라고 합니다.
33% 불면증을 호소합니다.
의료 사례중 83%는 우울증 및 스트레스 와 불안 때문입니다.
미국내 이직율의 상승
직장을 떠나는 이유 42%가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70%는 일에 몰두하지 않습니다.
3분의 1은 의도적으로 몰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일할 생각 없이 회사에 간다고 합니다.
64%는 고용주가 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직장인들의 스트레스는 전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189개국에서, 직장인 2500만명 조사 결과,
13%의 직장인만이 일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63%는 게으름을 피운다고 합니다.
밀레니얼 세대의 문제
스트레스를 극단적으로 받아들입니다.
2015년 이후 직장 내에서는 X세대를 넘어, 밀레니얼 세대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직장내 다수가 가장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이것은 더 이상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닙니다.
대안은 무엇인가 ?
감정 문화가 중요합니다.
시걸 바세이드 교수와 올리비아 오늘 교수는 조직의 감정 문화가
모든것에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긍정적인 감정 문화가 중요합니다.
김성 지능이 높은 기업들은, S&P 500대 기업보다 주가 수익율이 8배나 높았습니다.
6가지 리더 (대니얼 골먼)
지시형, 전망제시형, 관계중시형, 민주형, 선도형, 그리고 코치형이 있습니다.
리더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대부분 지시형으로 바뀝니다.
보상 프로그램을 잘 만들어 놓으면 될까?
심리학자들의 연구 결과
금전적인 외적 보상은 조직의 성과를 만들 수 없습니다.
대안은 마인드풀니스
리더가 감성지능을 지녀야 합니다.
감정과 정서를 파악하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 이 정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43% 의사결정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86% 타인에게 귀를 기울이게 됐습니다.
감성지능이 왜 중요한가?
지능 지수가 높은 리더가 필요한가 ?
감성 지능이 더 중요합니다.
지능 지수는 이미 충분합니다.
압박감 속에서도 배려할 줄 아는 리더가 필요합니다.
월리스 바크만이 1988년 발표현 연구 결과
감성 지능이 더 중요합니다.
미국 해군에서 가장 뛰어난 지휘관들은 모두
감성 지능이 높은 리더들이었습니다.
감성 지능의 구성 요소
마인드풀니스, 자기 알아차림, 자기 조절, 동기 부여,
공감과 사회적 기술이라고 합니다.
감성 지능의 요소들
자기 알아 차림 (Self-awareness)
자기 알아차림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자기 알아차림을 통해서 자신감과 정확한 자기 평가가 가능합니다.
감정의 뇌는 사고의 뇌보다 빠릅니다.
자기조절
내면의 상태를 관리 하는 것입니다.
감정의 자동 처리 과정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감정 조절이 안되서 실패하는 리더들이 많습니다.
동기에 대해 아는 것
자신의 정확한 동기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의 감정과 행동, 그리고 성과는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부정 편향을 극복해야 합니다.
2p208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