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라인 이펙트(The Deadline Effect)

크리스토퍼 콕스


미루기란 무엇인가?

미루기

사탄의 가장 사악한 엔진입니다.

심리학자 조지 아인슬리, 기본적인 충동 또는 근본적인 인간의 오점이기도 합니다.

성인들의 20% 미루는 습관이 있습니다.

가치 폄하효과

시간의 비일관성과 현재 편향의 모습입니다.

미래에 대한 보상과 대가를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래의 만족감은 현재의 만족감을 이길 수 없습니다.

미루기 성향은 사고방식의 변화로 극복할 수 있는가?

미루기는 뇌와 신체, 환경의 결합물입니다.

자기 의지로 미루기를 고칠 수 없습니다.

삶을 구조화해야 합니다.

데드라인이란 무엇인가?

데드라인의 의미

절대 넘어가서는 안되는 선입니다.

남북 전쟁중 죄수들이 넘어가면 즉시 사살되는 경계선으로 불렸습니다.

기사가 마감되는 시간을 뜻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심리학자들이 밝혀낸 데드라인 효과

아모스 트버스키는,

설문지 작성에 5달러를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데드라인이 있었던 집단은 60%를 제출했습니다.

데드라인이 없었던 집단은 25% 를 제출했습니다.

데드라인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

데드라인이 존재하면, 보고서 및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데드라인은 강력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계획오류

대표적인 인간의 탁월한 약점

암모스 트버스키, 대니얼 카너먼은 논문 공동 집필에 2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9년이 걸렸습니다.

오페라 하우스도 같은 맥락에서 인용됩니다.

1957년 착공 , 1963년에 완성될 예정 예산 7백만 호주달러로 예상했습니다.

실제는 1973년에 겨우 완공되었고, 비용은 1억 2백만 달러가 소요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낙관적이다

함께 미래를 계획하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어떤 일에 필요한 시간을 과소 평가합니다.

가장 최악의 경우가 잘 맞을 때가 많습니다.

계획 오류에 빠지면 생기는 일

프로젝트 완수를 위한 가장 낙관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자신의 지난 예측이 과도한 낙관이라는 점을 인정해도, 현재의 예측은 매우 현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 긴급성 효과

단순 긴급성 효과에 대한 실험

학생들에게 제품 리뷰 다섯개를 작성하라고 요구하고, 10분안에 작성하면 초콜릿 세계를 받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급한 일을 처리 하는 것이 더 매력적이라고 여깁니다.

단순 긴급성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

결과보다 시간에 더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면서도, 우선순위를 제대로 정하지 못합니다.

단순 긴급성 효과를 줄이는 방법

최종 보상을 상기해야 합니다.

결과를 강조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우선 순위를 제대로 정해야 합니다.

데드라인 설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전 데드라인을 설정한다

실제 데드라인 보다, 앞선 데드라인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최종인 듯 다뤄야 합니다.

상황을 판단하고 일정을 수정한다

상황을 판단하고 수정하는 일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이에 따라 팀의 성과가 달라집니다.

데드라인을 단계적으로 설정한다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이루기 어렵습니다.

데드라인을 단계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플랜B의 플랜B를 준비하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