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웨델 웨델스

리프레이밍이란 무엇인가 ?
문제를 해결한다
대부분의 시간을 문제 해결에 투자합니다.
행동하는 것부터 시작하다 보니,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접근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방법
기술적인 해결책, 정신적인 해결책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는 정신적인 해결책이 필요합니다.
문제를 다시 정의하고, 원점에서 문제를 바라 봐야 합니다
리프레이밍에 대한 오해
진짜 문제 찾기라고 생각하는데, 그것은 아닙니다.
해결하기 더 나은 문제를 찾는 것 입니다.
어떤 문제에는 단 하나의 근본 원인이 있다고 생각되지만,
실제는 문제에 다양한 원인이 있고,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리프레이밍 준비하기
문제 진단에 대한 잘못된 가정
장기적인 활동이고 시간이 많이 듭니다.
완벽하게 이해하기 전에 어떤 행동도 하지 않습니다.
아인슈타인의 말에서 비롯된 착각입니다.
“나에게 문제를 풀 시간이 1시간이 있고, 이것이 내 목숨과 관련이 있다면
문제를 정의하는데 55분을 쓰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나머지 5분을 쓰겠다”
아인슈타인이 한 말이라고 하나, 이에 대한 증거가 없고,
좋지 못한 조언입니다.
리브레이밍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리프레이밍은 문제에 접근하는 사고방식입니다.
처음 리프레이밍을 하는 사람들은 화이트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한 다양한 경험의 소유자들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고, 브레인 스토밍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문제 자체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리프레이밍에 걸리는 시간
경험이 조금 쌓인다면, 5~15분이면 충분합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무작정 행동부터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MIT 할 그레슨 교수 ‘질문 퍼붓기’도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리프레이밍의 6단계
문제를 프레이밍 한다.
해결하려는 문제를 명확히 파악합니다.
방법론적으로 문제 서술문을 작성하고, 이때 직접 종이에 쓰는 것이 좋습니다.
이해관계자 도표를 작성합니다.
프레임 밖을 바라봅니다.
문제 밖에서 놓친 것이 없는지 확인하기
자신의 전문 지식 밖에서 살펴봐야 하고,
이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확인하고, 숨겨진 영향을 찾아야 할 때도 있습니다.
오래전 했던 마시멜로 실험을 다른 학자가 이 실험을 최근 재현한 결과
의지력보다는 돈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마시멜로를 빨리 먹었고,
부자집 아이는 천천히 먹었다 입니다.
목표를 의심해 본다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목표를 세우고, 이를 의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목표는 다시 검토되어야 합니다.
긍정적인 예외에 주목하라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방법으로 해결했던 경험이 있는지 파악해 봅니다.
문제를 해결 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합니다.
집단 내 아웃라이어가 있는지를 파악해 봅니다.
자신의 행동을 돌아보라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일 수 있습니다.
개인과 기업은 자신들이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문제의 수준을 다룰 수 있는 수준으로 축소 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보라
조망 수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지적 관점에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입장 바꿔서 생각해보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망 수용을 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극복해야 하는가?
사일로 사고방식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외부인을 배척하고 자신이 더 잘 안다고 느낍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문제를 풀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합니다.
리프레이밍에 대한 근본적인 저항
감정이 리프레이밍을 방해하고,
일을 중단시키는 경우도 많습니다.
감정 문제는 감정으로 대응할 수 없습니다.
문제 진단에 대한 원초적인 부정
프레이밍 때문에 불편한 진실을 마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레이밍이 피하고 싶은 해결책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레이밍이 다른 이익과 상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여줄 수 있는 데이터로 논리적으로 접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리프레이밍을 거부한다면, 남은 방법은 그들을 실패하게 두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