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 어게인(모르는 것을 아는 힘)

아담 그랜트


다시 생각하기란 무엇인가 ?

다시 생각하기가 필요한 지점

사람들은 물건을 쉽게 업데이트 한다. 하지만, 지식이나 견해는 기존의 것을 고집하려 든다.

누구나 인지적 게으름을 가지고 있다.

정신적 구두쇠라고 하는데, 최초 직감의 오류를 가르쳐도 소용없다

한번 결정한 답은 수정하지 않는다.

다시 생각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의견이나 생각에 안주하고, 다시 생각하려는 의지를 가로막는다

빠른 세상에 적응하기 위해 다시 생각해야 한다.


무엇이 맞고 무엇이 틀리는가 ?

심리학자 필립테틀록에 따르면 사람들은 3가지 방식으로 이야기 한다.

자기의 이상을 보호하기 위해 전도사 처럼

다른 사람의 논리에 오류를 발견하면 검사 처럼

다른 사람의 동의를 얻어야 할 때 정치인 처럼.

이탈리아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과학적 사고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나눠서 실행해 보면,

과학자처럼 생각해야 계속 생각을 수정할 수 있다.

과학적 사고 집단은 평균 3번 이상 생각을 바꿨다. 그리고 평균 소득도 높다.

리더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

강인한 사고방식과 분명한 시각을 가진 사람을 리더라고 말하지만,

최고의 전략가는 단호하고 확고한 사람이 아니라 느리고 확신이 없는 사람이다.


다시 생각하는 방법

 다시 생각하기는 누가 잘 하는가 ?

머리가 좋은 사람, 스마트한 사람은 합리적일까 ?

자기 마음을 바꿀 동기가 있어야 한다

지능 지수가 높으면 고정관념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똑똑한 사람일수록 자기 생각을 수정하는데 애를 먹는다고 한다.

패턴을 추동하는 편향들

확증편향, 자기가 보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만 본다

소망편향,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바라본다.

똑똑하면 자기 한계를 알기 어렵다.

스티브 잡스는 어떤 리더였는가 ?

자유로움의 상징 스티브 잡스, 그는 생각이 유연한 리더가 아니었다.

직원들은 비밀리에 모여 연구하고, 잡스를 계속 설득 했다.

자기 확신을 버릴 수 있어야 한다.

다시 생각하기는 어떻게 하는가 ?

자기 지식의 의견 안에 가지고 있는 맹점

맹점 때문에 자기 눈에 멀었다는 사실을 모른다.

잘못된 확신은 다시 생각하기를 거부한다.

확신은 올바른 확신이어야 한다.

똑똑하지 않은 사람들을 다시 생각하기를 잘 할까?

정서 지능 테스트에서 최하점을 받은 사람들이 자기 능력을 과대 평가할 가능성이 높다.

자기 점수를 부정하고, 자기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모른다.

지나친 확신을 가질 때는 전문가가 된 시점이 아니라, 초심자에서 아마추어로로 갈 때 이다. )

아마추어의 위험성

가장 위험할 때 이다.

초심자에서 아마추어로 변할 때, 발전하는 자기 모습에 자부심을 느낀다.

자기가 달인이 되었다는 착각에 빠지게 된다.


다시 생각하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다시 생각하기의 출발점

겸손함의 라틴어 어원은 땅에서부터라는 뜻이라 한다.

확신을 적게 하는 것은 겸손이 아니다.

자기가 제대로 하고 있는 계속 의심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의심

나는 사기꾼이 아닐까?

다른 사람들은 내가 나를 평가하는 것보다, 나를 더 유능하게 평가한다.

내가 사기꾼일까 생각하는 사람이, 조직에서 더욱 높은 점수를 받는다.

의심의 세가지 이득

더 열심히 노력하도록 해주고, 더 똑똑해지도록 해주고,

우리는 한층 훌룡한 학습자가 된다.

스스로 의심하는 것을 즐겨야 할거 같다.

다시 생각하기가 중요하다.

당신이 믿고 있는 믿음과 사상

이념이라는 잣대로 자신을 규정한다.

자기 의견을 성스럽게 여기지 말아라.

그 사람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

진정으로 훌룡한 리더와 대가들의 반응

자기가 틀렸다는 사실을 알면 크게 기뻐한다.

우리는 더 자주 틀릴 수 있다.

여기서 배워할 것은, 목표는 보다 덜 자주 틀리는 것이지만, 실제는 자주 틀릴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미래예측 대회에서 우승한 사람들

얼마나 많은 것을 아는가보다,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하다

성공한 예측가는 자기 의견을 자주 수정한다.


다시 생각하기와 팀의 성과

팀에서 일어나는 두가지 갈등

관계 갈등과 업무 갈등

관계 갈등은 파괴적이다.

업무 갈등은 긍정적이다.

성과가 높은 팀과 vs 성과가 낮은 팀

성과가 낮은 팀은 관계 갈등이 높다

성과가 높은 팀은 업무 갈등이 높다.

업무 갈등은 긍정적이다.

예스맨은 리더가 되면 안되는 이유는 그들은 사소한 갈등을 회피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리더가 되면 친화적인 사람들로만 팀을 채운다.

높은 성과에는 도전적인 사람들이 필요하다.


아마존 제프 베조스의 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