써드 씽킹 (Third Thinking)

가게야마 테쓰야


인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

인간의 의사결정

컬럼비아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쉬나 아이엔가가 말하길,

인간은 하루 평균 70번의 의사 결정을 합니다.

일년이면 26,000번의 의사결정을 합니다.

두가지 인간의 사고법

행동경제학자 대니얼 카너먼은은 인간의 사고를 두 가지로 나누고 있습니다.

시스템1 = 빠른 사고, 직관적인 사고

시스템2 = 느린 사고, 깊이 생각하는 사고, 논리적, 합리적 사고

시스템1과 시스텝2

사고 하는 뇌의 부위가 다릅니다.

시스템1은 대뇌 변연계,

시스템2는 전전두피질이 관여합니다.

비즈니스 사고법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필요한 사고법은?

느린 사고가 좋을까, 빠른 사고가 좋을까?

인지 스타일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직관성이 중요하다는 증거들

미국 컴퓨터 산업, 은행 산업, 에너지 산업의 리더들은 직관적으로 사고합니다.

영국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직관성은 성과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상사가 더 직관적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직관성이 중요하다는 결과의 3가지 문제점

연구 대부분은 영미권에서 다뤄졌습니다.

연령이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인지 스타일을 측정하는 질문지가 오래된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좋은 아이디어 만드는 법

열심히 생각하면 가능할까?

생각은 충분한 시간을 들인다고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신중하게 생각해야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매우 큰 착각입니다.

비즈니스 리더들의 고민

바람직한 의사결정이 어렵습니다.

창의성이 부족합니다.

참신한 아이디어를 만들지 못합니다.

의식적으로 과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때의 사고입니다.

인간은 무의식 사고를 일상적으로 활용합니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사실입니다.

무의식의 세계가 너무 방대해서 모든 것이 정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습니다.



무의식 사고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

보통 사고는 의식적으로 생각하기를 수반합니다.

예일대학교 심리학자 존 바그의 주장에 의하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99% 이상 입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해법

네덜란드 사회심리학자 압 데익스테르후이스에 의하면,

  • 의식사고는 단순한 과제에서 좋은 결정을 내린다
  • 무의식 사고는 복잡한 과제에서 좋은 결정을 내린다.

시스템3이 존재한다.

복잡한 문제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스스로 인식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미 무의식 사고의 탁월성이 입증되고 있습니다.

무의식 사고의 장점

정보처리 용량에 제한이 없습니다.

의식사고와 무의식 사고의 차이점

인간이 순간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숫자는 7자리 입니다.

중요도에 따른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다

가중치 평가가 가능합니다.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편향된 사고를 하지 않게 됩니다.

편향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사전 지식이나 기대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창의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

의식 사고는 사전 정보에 영향을 받습니다.

무의식 사고는 창의적 사고를 합니다.

무의식 사고는 어떻게 사용하는가?

무의식 사고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인간은 직관적으로 바로 생각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분 정도는 쉬어야 합니다.

문제와 상관없는 대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잠깐 문제를 떠나야 합니다.

어렵지 않은 과제를 찾아야 합니다.

목적 의식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목적 의식이 있어야 무의식이 켜집니다.

무의식 사고는 주의 전환과는 다릅니다.

분명한 목적이 있어야 합니다.

써드 씽킹 (Third Thinking)”의 1개의 생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