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티아스 뇔케
성공이란 무엇인가?
직장의 현실은 무엇인가?
높은 지위에 오른 사람들은 누구인가 ?
평균 이상의 자기 도취자들이 많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잘났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장점이 최고라고 믿습니다.
결정의 중심이 되어야 하고, 인정받아야 하며, 1등이 되고자 합니다.
관리자가 업무를 지시하면 직원들은 아래와 같이 답합니다.
“문제 없습니다. 당연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강하게 보여야 합니다.
경쟁 사회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합니다.
성적이 나쁜 사람일수록 자신의 능력을 과대 평가합니다.
성공만을 부르짖는다
만족은 근물이다.
성공한 사람은 만족하지 않습니다.
계속 노력하고 끊임없이 배우고, 매일 더 발전해야 합니다.
성공하려는 탐욕일 뿐입니다.
셀프 마케팅의 시대가 왔다
성공과 행운에 대해 충고하는 컨설턴트들의 말에 따르면,
근면, 실력, 내면으로 충분하지 않습니다.
‘나’를 잘 팔아야 하고, 인내심으로 상대를 대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목표나 계획을 떠드는 사람들의 장점
계획을 떠들고 다니면, 철회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멋진 계획을 공표하고 나면 자신에게 감동해 버립니다.
가르리엘레 외팅겐의 연구,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한 사람들이 실패할 확률이 더 높습니다.
긍정적 사고밖에 못하는 바보들의 기원
150년 전 ‘신사상’ (New Thought) – 이라는 종교 운동이 있었습니다.
종교 철학,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는 이를 마음 치료 운동이라고 했습니다.
신사상을 믿는 사람들은 세상의 모든 해악과 질병은 정신적인 원인 때문이라고 여겼습니다.
건강, 권력, 성공은 생각만 하면 그것을 갖게 된다는 주장입니다.
1990년대 긍정적 사고로 되살아 났습니다.
의심은 금물, 과대 망상은 의무였습니다.
긍정적 사고는 곧 긍정적 미래를 만듭니다.
모든 것은 이룰 수 있고, 불가능한 것도 가능합니다.
성공을 지향하는 인간이 되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을 자랑하기 위해 밖으로 나돌아야 합니다.
하지만, 자신의 성공담을 떠벌리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무엇을 위해 성공해야 하는가?
성공한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단점이 있다
성공은 인격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 않는다
성공하려면 다른 사람들을 제쳐야 하고, 수단과 방법은 주저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실제로 사람들을 괴롭히는 착취자 유형이 관리자까지 올라갈 경우가 많습니다.
높은 자리에 올라가는 데에 반드시 거친 성격이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성공을 하면 주변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줄어듭니다.
자신이 우월하다고 느끼면 주변 사람들을 신경 쓰지 않습니다.
예의가 없고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지 않습니다.
비싼 자동차를 모든 운전자는 빨간불을 무시하는 경우가 세 배나 많다고 합니다.
성공이 계속되면?
자기만족에 빠지고, 게을러지기 쉽습니다.
재미도 느끼지 못하고 일에 대한 관심도 점점 줄어듭니다.
스스로를 성공의 원인으로 꼽는 경우가 많고, 대놓고, 자기 도취에 빠집니다.
우열의 7단계
1단계 – 영향력과 우월감을 느낍니다.
2단계 – 기쁨과 자신감이 늘어납니다.
3단계 – 우월감이 공고해집니다.
4단계 – 실수를 저질러도 아무도 비판하지 않습니다.
5단계 – 독단을 저지르고 스스로 과대 평가합니다.
6단계 – 깊은 외로움을 느낍니다.
7단계 – 모든 사람들을 경멸합니다.
우리는 어떤 사람을 신뢰하는가?
절제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히든 챔피언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중간 규모의 기업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책의 제목 입니다.
어떤 일에 성공했다고 자축 파티를 벌이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승리하지 않고 이기는 전력을 취합니다.
절제하는 사람들은 많은 분야에 존재합니다.
많은 것을 이루고도 앞에 나서지 않습니다.
그들의 방식이고 그래야 편하기 때문입니다.
성공이 알려지지 않으면 훼방꾼들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진짜 만족감이란 무엇인가?
자신의 목표를 떠들지 않으면 숙고하고, 수정하거나 포기할 수도 있습니다.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고 묵묵히 일합니다.
무슨 일이 생길지 다른 사람들은 전혀 예상하지 못합니다.
절제란 무엇인가?
절제 (understatement)
어떤 일을 실제보다 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스로를 낮추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착각하라고 낮춰 말하는 것이 아니며, 상대방이 절제된 표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합니다.
절제된 자랑과 과거
절제하는 사람들은 상대방을 편하게 해줍니다.
자신의 성공과 강함으로 이야기 하지 않습니다.
불행한 일에 대해서도 사소한 불행일 뿐 별 것아니라고 말합니다.
절제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절제하는 사람들은 명예욕이 부족하거나 행동력이 약하다고 오해받습니다.
절제된 표현은 부족한 자의식과는 다릅니다.
자의식이 충만하고 훌룡한 사람만이 과소 표현을 할 수 있습니다.
문화사 측면에서 절제의 기원
원시시대
절제는 원시 시대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대장 한 명만 명령을 내리지 않았고, 구성원 각자가 사회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부시맨이 사냥을 다녀왔을 때도 자신의 성과보다 줄여서 대답했습니다.
고대 그리스
그리스 희극에서는 자신의 진짜 능력은 숨기고 작게 만드는 캐릭터가 존재합니다.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도 절제의 유형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를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은 그를 비웃었습니다.
절대 군주의 등장
절대 군주는 실제보다 과장해서 보여 주는데 주력했습니다.
중세 기사도, 젠틀맨을 거쳐 시민적인 절제는 ‘크니게’ 가 발견했습니다.
자랑하던 시대는 끝났다.
절제는 왜 필요한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사람을 대할 때 긴장을 풀어줍니다.
더 많은 것을 경험하게 합니다.
같은 부류의 사람을 만났을 때 마음을 더 여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강한 유대감
세심하게 낮추는 감각이 발달한 사람들과 강한 유대감이 생깁니다.
성격이 불편한 사람을 제외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허영심이 강하고 자기중심적입니다.
전략적 과소평가
누구나 좋은 평가를 받고 싶어합니다.
강점이나 성과가 드러나지 않도록 조심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실질적으로 이롭기 때문입니다.
자랑하던 시대는 끝났다.
힘을 뽐내던 영웅적인 시대는 지나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무적이고 냉정하고 협력적인 관계를 선호합니다
기업의 대표는 평범하게 보이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떠받들거나 사치스럽게 보이는 모든 것을 피하고자 합니다.
패션에서도 자랑의 시대는 막을 내렸습니다.
성공한 젊은이들 가운데 성공을 과시하기 위해 새로 구입한 번쩍이는 시계
‘사실 이것은 매우 웃기는 행동이다’
남성의 정장과 여성의 옷도 바뀌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묵묵히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절제하는 사람들은 강하게 보이고 싶어하지 않습니다.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합니다.
절제는 이것을 잘 아는 사람만이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절제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은근한 자랑은 하지 말아라
사람들이 다양한 언급에 대한 평가를 연구한 실험에 따르면,
허풍은 받아들이지만 은근한 자랑은 싫어했습니다.
뭔가 거짓말을 한다는 인상을 주게 됩니다.
쇼를 하지 말아라
기업의 회장이 소형차를 타고 나타나는 경우,
이런 행동을 통해, 소형차를 타고 직접 운전도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 것입니다.
진정한 관리자의 절제는 따로 있습니다.
신뢰받는 사람이 되어라
신뢰는 정직과 능력이 결합되어야 합니다.
정직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완벽을 원하지는 않습니다.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