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op 차단
Spanning Tree 를 가지고 어떻게 Loop를 해결 하는지 살펴봅시다.

각 스위치에 Spanning Tree 설정 상태를 보면, Priority는 모두 0x8000 이고, MAC 주소 부분이 1, 2, 3 이라
Bridge1 이라는 스위치가 가장 높은 Bridge Priority를 가지고 있습니다. (숫자가 낮은 값이 높은 순위)
위 장면은, Bridge1과 Bridge2가 연결된 Segment 에서 Bridge1에 붙어 있는 포트가 Priority가 높으니,
Designated 포트역할을 갖게 된다. 반대로, Bridge2 쪽 포트는 일단, Root 포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둘다, Forwarding 대상입니다.

Bridge1과 Bridge3가 연결된 Segment에서도, Bridge1 측 포트가 Priority가 높으니, Designated 포트 역할이 되고,
Bridge3 측 포트는 Root 포트 역할이 됩니다. 둘다 Forwarding 대상 입니다.

Bridge2 와 Bridge3가 연결되어 있는 Segment 에서는 Bridge2 쪽 포트가 Designated 포트 역할이 됩니다.
Bridge3 측의 포트 경우, 자기 보다 높은 BPDU가 수신되니까, Root 나 Alternative 역할이 되는데, 이미 Bridge1와 바로 붙어 있는
포트가 Root 역할을 하게 되니, 자연스럽게 Alternative 포트 역할이 됩니다.
이때, Designated 포트는 Forwarding 대상이지만, Alternative 포트는 Blocking 대상이 됩니다.
포트가 차단됩니다.

이제 길 하나가 논리적으로 끊어지고, Loop는 해소되었습니다.
Switch Over

Loop resolution 단계 결과로 Active 경로가 설정되었고,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실질적인 통신 경로로
사용되지 않는 링크가 생겼습니다. 사실상, 해당 링크는 Standby 링크 역할을 하게 됩니다.

Bridge1과 Bridge3 간에 링크가 끊겼습니다.
이런 링크 장애는 TCN도 발생되고, 스위치 내부 Spanning Tree 자료에 변화가 발생됩니다.

원래 Alternative 역할이었던 포트가 이제 Root 역할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Blocking 상태가 풀리면서, Listening, Learning 상태 로 전이하게 됩니다.

이제 Bridge3의 새로운 Root 역할 포트가 Forwarding 으로 최종 변경되면서, 정상적인 링크로 사용가능 해 졌습니다.
이런 상태로,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장비들 간에는 다시 정상 통신 가능 상태가 되었습니다.